세계 여성의 날
1908년 미국의 여성 섬유 노동자 1만51만 5천여 명이 노동시간 단축, 임금 인상, 노동환경 개선과 여성 투표권 쟁취를 외쳤습니다. 그리고 1년 후, 미국 사회당이 이를 기념하여 국가 여성의 날을 발료하고 뉴욕시 행진을 기획했습니다.
여성의 날을 국제 기념일로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은 클라라 제트 킨 이1910년 덴마크 코펜하켄에서 열린 여성노동자 국제 콘퍼런스에서 했습니다. 그사이에서 17개국에서 온 100명의 여성이 있었고 만장일치로 그녀의 제안에 찬성했습니다. 세계 여성의 날은 오스트리아, 덴마크, 독일과 스위스에서 1911년에 처음 기념했습니다.
클라라 체트킨이 세계 여성의 날을 처음 제안했을 때만 해도 특정 날짜가 정해진 것은 아니었다고 합니다. 세계 여성의 날이 3월 8일로 정해진 것은, 1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17년, 러시아 여성 노동자들이 ‘빵과 평화’를 내세우며 대규모 파업을 벌였습니다. 이후 4일 만에 러시아의 짜르 니콜라이 2세가 폐위되고, 여성들은 임시 정부로부터 참정권을 얻어내고, ‘빵과 평화’ 시위가 시작된 날을 양력으로 계산한 것이 3월 8일이라는 설이 있고, 또한 1857년과 1908년의 3월 8일에 미국의 여성 노동자들이 근로여성의 노동조건 개선과 여성의 지위향상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인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1857년 뉴욕시의 섬유·의류 공장 여직공들이 작업조건 개선과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가두시위를 벌여, 진압과정에서 격렬한 충돌이 일어났고, 1908년에는 수천 명의 미국 봉제산업 여종업원이 미성년장 노동금지와 여성참정권까지 포함한 요구조건을 내세워 시위를 벌였습니다.
그 후 여성의 날이 세계 역사에서 가장 무게감 있게 다가온 때는 역시 1917년 러시아에서였습니다.. 여성의 날을 맞이하여 페트로그라드를 행진한 푸틸로프공장의 여성노동자들을 시작으로 마침내 300년간 이어져 온 로마노프 왕조가 무너지고, 새로운 소비에트 연방으로 가는 길이 열렸기 때문입니다.
세계여성의 날의 상징색은 보라색(정의와 존엄) 녹색(희망) 흰색(순결- 이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 입니다 . 이 색들은 1908년 영국의 여성사회정치연합(WSUP)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의 여성의 날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부터 나혜석, 박인덕 등이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해 왔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맥이 끊겼다가 1985년부터 공식적으로 기념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8년 2월 20일 여성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양성평등기본법’ 일부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서, 2018년부터 3월 8일이 법정기념일인 ‘여성의 날’로 공식 지정됐다.